본문 바로가기
제테크

부동산 시장, 2023년 지금부터 주목해야 할 곳, 평택, 천안, 아산, 군산

by 옥스나 삼촌 2023. 6. 26.
반응형

부동산 관련정보를 다루고 있는 리치고 어플의 ceo인  김기원 대표가 앞으로 주목해야 할 부동산, 투자처는 평택, 천안, 아산, 군산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기반으로 설명을 하니 무한한 신뢰가 갑니다. 상세내용 아래 영상을 통해 확인하시거나 요약된 내용은 아래 글 읽어주시면 되겠습니다.
 

김기원대표리치고
웅달책방, 유튜브 - 김기원대표(리치고)


평택, 아산, 천안, 군산의 부동산을 주목하라

우선 서두에서 먼저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 지금 사라고 말씀드리는 것이 아닙니다. 리치고 어플에서는 인구의 증가수와 평균급여의 증가가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는 지역이라서 메리트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김기원 대표가 추천하고 있는 지역입니다. 지금 당장이 아니라 앞으로의 미래가치가 높기 때문에 눈여겨볼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죠. 며칠 전 실제로 천안 불당동에서 거주하고 있는 친구가 연락이 왔었습니다. 천안에 아파트 지금 하나 더 잡아도 되겠느냐고 말이죠. 제가 제 블로그에서도 계속 언급했듯이 지금 당장은 사지 말고 올해 말이나 내년 초에 한번 노려보라고 했습니다.
리치고 김기원 대표가 좋다고 하는 천안입니다만 일단 우리는 입주량과 수요량은 항상 체크를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블로그의 구글 품질평가로 인해 제 블로그에는 더 이상 그림이나 사진을 많이 올리지 못하는 점 양해드리고, 글로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부터 2026년까지 천안의 아파트 공급량은 수요량에 비해서 1.5배 정도 더 많습니다. 천안 바로 옆에 있는 아산도 마찬가지죠. 단순히 공급량과 입주량을 보았을 때는 천안, 아산의 아파트를 구입할 만한 시기는 아닙니다. 하지만 평택의 경우, 우리나라의 근간인 반도체사업지로 적극 활용되면서 교통도 좋아지고 거주환경도 매우 좋아지게 되면서 일자리가 풍족한 투자처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평택도 과거에 물량이 엄청나게 많던 지역이었죠. 그랬던 평택처럼 천안과 아산도 그렇게 될 것이라는 겁니다. 평택아래에 천안과 아산이 바로 위치하고 있는데요, 평택이 엄청난 일자리로 커지면서 그 수혜를 천안과 아산에서 받을 것이라는 겁니다. 조금 특이한 것은 천안의 1 급지가 불당동인데요, 천안에서 비교적 남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앞으로는 천안의 북쪽이 뜰 거라는 것이죠.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평택과 가까운 천안의 북쪽이 수혜를 받을 수 있는 지역이라는 것입니다. 사실 천안의 불당동은 아직까지도 아파트 가격이 상당한 편입니다. 물론 판은 벌어져봐야 알겠지만 평택의 일자리로 인한 수혜는 천안의 북쪽뿐만이 아니라 남쪽인 불당동까지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합니다. 뭐라 하더라도 사람들은 좋은 동네에서 거주하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이겠죠. 어쩌면 평택으로 인해서 천안의 북쪽이 상당한 발전으로 좋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런저런 상황을 볼 때 천안의 북쪽지역을 올해 말 투자처로 생각해 보시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오늘따라 내용에 두서가 좀 와리가리 하는데 이해 부탁드리겠습니다.

군산, 새만금 지구도 주목하라

지도로 군산을 한번 검색해 보시고 오겠습니다. 좌측 바다 쪽에 새만금지구를 확대해서 살펴보시다 보면 상당히 체계적으로 만들고 있는 부지가 발견됩니다. 일단 참고로 현재 2차 전지관련해서 유명한 기업인 엔엔에프가 군산 새만금에 공장을 짓겠다고 나섰죠. 규모는 무려 8천억입니다. 2차 전지에 대해서 좀 알고 있는 제 입장에서는 엘엔에프의 미래성장성이 제법 밝다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어쨌거나 안정적인 대규모의 일터가 들어온다는 것은 상당히 좋은 내용입니다. 또한, 새만금지구에서 지난 10년간 투자유치했던 금액은 1조 원 정도라고 합니다. 그런데 작년과 올해 현재까지만 해도 3조 원 가까이의 투자 유치를 했다고 합니다. 이것은 새만금지구가 앞으로 본격적인 발전의 행보에 들어섰다고 볼 수 있겠죠. 거기다가 만약에 다른 업체들 까지 나서서 부지를 확보해 나간다면 새만금 지구는 어마어마하게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김기원대표의 농담 삼아 말하는 뇌피셜로는 테슬라가 한국진출을 하게 된다면 새만금지구로 들어올 수도 있다고 합니다. 물론 제가 봐도 현실적으로는 불가능에 가깝습니다만 만약에 테슬라가 현재 중국의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고 미래에 우리나라의 배터리를 사용하게 된다면 충분히 가능성 있는 일이기도 하죠. 어쨌거나 김기원 대표는 일자리가 증가할 수 있는 곳을 바탕으로 투자처를 추천하고 있습니다.

2030년에도 아파트 투자는 좋을까?

글쎄요,라는 답변을 드리고 싶습니다. 김기원대표의 경우에도 똑같은 답변을 하고 있습니다. 우선 저의 경우에는 2020~2022년경에 부동산시장의 상승이 왔을 때 이렇게 까지 오를 줄 몰랐습니다. 코로나의 영향으로 유동성이 풍부해져서도 있지만 1인가구의 수가 늘어나면서 물량을 커버할 것이라는 생각은 못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1인가구의 수는 그리 증가하지 못할 것으로 봅니다. 따라서 당연히 집값의 상승은 2030년까지 좀 더디게 나올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핵심요충지나 신축들은 여전히 짜릿한 상승을 맛볼 수도 있습니다. 과거에 10군데의 아파트 상승이 나왔다면 미래에는 7,8군데의 상승이 나올 것이라는 의미이죠. 김기원대표도 인구감소에 대한 부분을 언급하며 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사람들은 일을 하고 먹고살아야 하기 때문에 일자리가 있는 곳, 살기 좋은 곳에 몰릴 것이라고 말합니다. 저도 동의하는 부분이고요. 저는 아마도 앞으로 부동산 투자로 재미 볼 수 있는 시대는 2030년쯤이 마지막이라고 생각합니다. 그전까지는 한 번 더 노력해서 부의 사다리에 올라타야겠죠. 아, 오늘 글이 정말 두서가 없네요. 양해부탁드리고 도움 되는 정보만 쏙쏙 빼서 읽으시길 바랍니다. 긴 내용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