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테크

2023년 국내 기준금리 발표 일정과 미국 기준금리 발표 일정

by 옥스나 삼촌 2023. 7. 12.
반응형

6월 미국 FOMC에서 금리를 동결하였지만 앞으로 두 차례 정도 더 올릴 수 있다는 파월의장의 언급으로 인해 파장이 제법 있었습니다. 주식시장에는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에 미리 알아두면 좋겠죠.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 발표 일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블로그는 광고수익으로 운영됩니다. 광고 클릭 한번 부탁드릴게요^^)

2023년 국내 기준금리 발표 일정과 미국 기준금리 발표 일정
2023년 국내 기준금리 발표 일정과 미국 기준금리 발표 일정

 

미국 기준금리 발표 일정

2023년 미국 기준금리 발표(일)
1월 1.31 ~ 2. 1
2월  
3월 21 ~ 22
4월  
5월 2 ~ 3
6월 13 ~ 14
7월 25 ~ 26
8월  
9월 19 ~ 20
10월 10.31 ~ 11. 1
11월  
12월 12 ~ 13

 

반응형

국내 기준금리 발표 일정

2023년 국내 기준금리 발표(일)
1월 13
2월 23
3월  
4월 13
5월 25
6월  
7월 13
8월 24
9월  
10월 19
11월 30
12월  

 

국내 기준금리, 이번에 올릴 것인가?

아무도 정확한 예상할 수 없는 부분이긴 합니다. 저도 전문가분들의 여러 인터뷰 내용을 듣고 참고할 뿐이죠. 하지만 전문가들의 의견이 하나로 좁혀지고 있는 것은 확실합니다. 금리 인하는 절대로 없다는 것이죠. 그렇다면 남은 것은 금리 동결이나 상승, 두 가지의 경우의 수밖에 없습니다. 짧게 설명드리겠습니다. 국내의 기준금리가 동결로 가게 된다면 미국과의 금리차이가 더욱 벌어지게 되어서 투자를 했을 때 얻어지는 수익이 더 줄게 되는 현상을 초래합니다. 쉽게 말해, 미국의 기준금리가 5%이고 국내가 3%라고 한다면 2%의 금리에 대한 손해를 보면서 국내에 투자를 하게 됩니다. 그런데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서 6%가 되었고 국내 금리는 동결하면서 여전히 3%를 고수한다면 3%의 금리 손해를 보면서 투자하게 되는 것이죠. 이렇게 되면 투자금의 해외유출이 일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국내의 경제상황도 좋지 않기 때문에 금리를 올리면서 발생할 충격에 대해 버틸 수 있을지 의문이 드는 상태입니다. 금리를 올린다면 투자금의 해외유출은 생기지 않겠습니다만, 국내의 경제시장에는 더 높아진 금리로 인해 각종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됩니다. 우리나라는 기준금리를 올려도 독이고 동결해도 독인 상황인 것이죠. 하지만 0.25%의 상승정도는 단행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문제는 그 시기가 언제냐인 것이죠.

 

한국은행은 미국 FOMC의 눈치를 보고 있다.

글 쓰는 날짜 기준으로 내일 발표일이네요. 7월 13일에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발표가 있을 예정인데 이번에는 금리 인상을 안 할 수 도 있습니다. 그 이유는 7월 25 ~ 26일에 있을 미국의 기준금리 발표를 보고 결정 지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에 미국에서 7월 25일 자로 기준금리를 인상하게 된다면 국내의 기준금리 인상날짜는 8월 24일로 확실시되겠죠. 그런데 7월 25 ~ 26일에 미국에서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는다면 또 다음일정을 봐가면서 결정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죠. 이번 금리발표일정에 따라서 전문가들이 말하고 있는 국내주식, 미국주식의 하락이 시작될 수 있기 때문에 관심 있게 지켜봐야 합니다. 일단 저는 모든 주식의 비중을 더 줄여놓은 상태고 인버스 ETF로 매수 대기 중에 있습니다. 이런 시기에 투자를 잠시 쉬면서 관망하는 것도 좋지만 좀 더 높은 수익을 위해서 인버스도 고려해 봐야 하는 것이죠. 어쨌거나 미국의 금리인상은 언제가 되던 분명히 일어날 일입니다. 그러니 다들 알고 미리 준비잘 하시길 빌겠습니다.

 

(이 블로그는 광고수익으로 운영이 됩니다. 광고 클릭 한번 부탁드릴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