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디션6

노래를 잘 부르기 위해 현재까지 잘 따라온 자네에게 건네는 말 노래를 잘 부르기 위한 관련된 내용을 계속해서 써내려갈 예정이지만 현재는 소재가 고갈되었다. 그래서 지금까지 노래를 잘 부르기 위해 잘 따라와준 자네에게 건네고 싶은 말이 있어서 이렇게 따로 글을 적는다.  이 글을 읽고 나서독자가 정말 가요제까지 나가보았다면 그동안 얼마나 많은 노력을 했을지 필자의 눈에는 선하게 보인다. 노래를 잘 부르던 못부르던 그 노력을 했다는 것에 대해서는 칭찬받아야 마땅할 것이고 정말 고생 많았다. 사실 필자는 독자가 가요제까지 나갈 것이라는 생각은 하지 못했고 바라지도 않았다. 누군가는 그저 이 글을 읽어 내려갔을뿐일것이고 또다른 누군가는 어느정도 실천해 보았을 것이다. 그리고 가요제까지 나가본 독자라면 그 누구도 시도하지 않았을 도전을 해본것이다. 독자는 많은 노력을 하며 .. 2023. 4. 21.
애드리브를 알려주겠다 네이버 지식인에서 질문자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그리고 애드리브에 대한 내용을 깜빡하고 빼먹었다 보니 겸사겸사 추가하는 내용이다.애드리브란 무엇인가?보통 애드리브라고 하기보다는 애드리브이라는 말이 더 익숙할 것이다. 애드리브 본래의 뜻은, 방송이나 연극, 영화 등에서 출연자가 대본에 없는 대사를 즉흥적으로 하는 것을 뜻한다. 노래, 음악에 있어서도 애드리브라고 할 수 있는 이유는 악보에 적히지 않은 노래나 연주를 즉흥적으로 하기 때문에 똑같이 애드리브라고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노래를 부르는 데 있어서 어떤 것들이 애드리브의 범위에 포함될지, 그리고 어떤 기교들이 사용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첫 단계에서부터 난관에 봉착했다. 하지만 연륜으로 설명을 이어가 보겠다. 필자가.. 2023. 3. 20.
가요제 실전팁 - 세 번째, 너무 긴 곡은 하지마라. '노래 시작했다~ 노래 끝났다~' 요즘의 어린 세대의 독자들도 이 노래를 아는가? 필자의 어린 시절에는 이러고 놀았었는데... 그러려니 하고 이해해 주길 바란다. 세상에는 수만가지의 노래들이 있다. 아주 먼 옛날 과거에서부터 노동요라는 것이 있었고 어떠한 구전소설도 노래형식으로 불려 내려오기까지 했었다. 그중 한 가지의 예가 판소리가 될 것이다. 판소리 중에 어떤 곡의 경우에는 플레이 타임이 3시간이 넘어가는 곡도 있다. 그런데 가요제에서 이런 곡을 선택할 일은 분명히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가요 중에는 어떤 곡이 가장 길지 궁금해할 것이다. 바로 가왕 조용필의 '말하라 그대들이 본 것이 무엇인가를'라는 가요곡이 있다. 무려 19분 55초의 플레이 타임이고 내레이션도 섞여있다 보니 곡의 길이가 더 길어질.. 2023. 3. 19.
가요제 실전팁 - 대중들이 알만한 곡을 선정하라 이제부터 본격적인 가요제 실전팁을 알려주도록 하겠다. 절대로 본인이 좋아하는 곡이라고 해서 그 곡을 선정하지 마라. 물론 그 곡이 대중들이 많이 알고 있는 곡이라면 큰 상관은 없다. 하지만 본인만 잘 알고 있는 좋은 곡을 관객들도 알도록 해주고 싶어서 선정하지 말아야 한다. 본인이 좋아하는 곡을 관객들이 좋아할 가능성은 낮기 때문이다. 차라리 노래방 인기차트에 있는 곡을 부른다면 괜찮은 선택이 될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그와 유사한 온라인 인기차트를 참고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넘어가자. 온라인 재생 실시간 인기차트 같은 곳에 있는 곡들의 경우에는 대부분 그 주의 최신곡들이 섞여 있고 스트리밍을 하는 연령층이나 일종의 세력에 따라 그 순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최신곡들에 대해 관심을 .. 2023. 3. 15.
가요제 선곡, 첫 번째 팁 필자가 수없이 많은 가요제를 출전하며 직접 부딪혔던 노하우를 꽁으로 자세하게 알려주는 그 첫 번째 글이다. 첫 번째, 대중들이 잘 알만한 노래를 하라. 너무 뻔한 내용의 팁인가? 독자들은 뻔한 내용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대중들은 독자가 좋아하는 곡을 듣고 싶어 할 가능성이 낮다. 독자가 유명한 가수라면 대중들의 반응은 달라질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유명한 가수가 아니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우선 대중들이 잘 알만한 곡을 선정하기 위해서 노래방의 인기차트를 이용한다면 괜찮은 선택이다. 하지만 온라인의 음원 인기차트를 참고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그 이유가 온라인 인기차트의 순위로 매겨진 곡들은 그 달의 최신곡들이 섞여있고 스트리밍을 하는 대세에 따라 천차만별로 달라지기 때문이다. .. 2023. 3. 13.
노래를 잘 부르기 위한 네 번째 단추 - 바이브레이션 part 4 아, 필자도 바이브레이션 설명하면서 이렇게까지 길어질지는 몰랐다. 발행했던 전자책이 팔리지는 않고 있지만 거기에 들어있는 내용보다 훨씬 더 자세하게 써 내려가고 있으니 여러분들에게 분명히 도움 될 것이다. 이 내용들을 나중에 종합하여 책으로 다시 엮어낼 것이니 소장하고 싶은 사람이 있다면 나중에 구매해 주면 3대가 행복하게 잘 살 것이라 믿는다. 복식 바이브레이션을 연습해 보자. '아' 든 '유' 든 아무 음의 소리를 쭉~~~ 내보자. 본인이 구사하기에 높지 않은 편안한 음을 정해서 소리를 내보자. 그렇게 소리를 쭉~ 내다가 앞전 글에서 말했듯이 배에 힘을 줘보자. 소리가 커지는 것이 느껴지는가? 다시 힘을 빼면 소리가 작아지는 것이 느껴질 것이다. 이게 잘 안되면 그냥 본인이 소리를 크게 낸다 생각하고.. 2023. 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