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15

에코프로, 2차전지

요즘 국내 주식시장의 코스닥을 좌지우지하는 대장주는 에코프로입니다. 현재 차트상으로 정배열이고 그칠 줄 모르는 상승을 이어가고 있는 중입니다. 에코프로 차트를 보시더라도 올해 들어 어마무시한 상승을 보여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 저도 에코프로를 가지고 있습니다. 35만 원대에서 현재까지 음봉을 줄 때마다 조금씩 사모으고 있는데요, 사면서도 좀 무섭습니다. 기업에 대한 확신이 부족했기 때문인데요, 이번에 뉴스기사를 통해서 에코프로에 대한 확신이 생겼습니다. "배터리가 뜬다"…에코프로, 올해 인재 1,000명 채용에코프로 그룹은 연간 1,000여명 채용을 진행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에코프로 그룹은 지난해 800여 명의 신입 및 경력직 직원을 신규 채용해 현재 3,000명 이상이 근무하고 있..

2차전지에 대해 좀 더 알아보자

앞전에 배터리 아저씨, 박순혁 이사와 2차 전지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2차 전지와 관련한 설명이 미흡하여 한번 더 알아보는 시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에코프로비엠을 저도 모르게 계속 추천하게 되네요 우선 저도 소액이지만 에코프로비엠을 이제 막 샀습니다. 사실 기업분석도 직접 해보지도 않았습니다. 추세 매매를 도전해 보기 위해 어제의 하락장에서 조금 매수를 하게 되었습니다. 현재의 차트 흐름을 보시게 되면 정배열 상황에서 5일선 위에서 대부분 주가가 움직이고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차트에서 10일선은 표시해놓지 않았습니다만 눈대중으로 대략 보더라도 10선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네요. 너무 얼렁뚱땅 인가요^^;; 초보분들께서 이해하실 수 있도록 설명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한 점 죄송하고..

2차 전지, 배터리 관련주 투자 (feat. 금양 박순혁 이사)

요즘 주식시장에서 2차 배터리 관련주들이 매우 핫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금양의 박순혁 이사님이 말씀해 주신 내용을 바탕으로 업로드 해 보았습니다. 박순혁 이사 주식회사 금양에 재직중인 박순혁 이사님이십니다. 과거 새롭기술의 시절부터 기술관련하여 투자를 하셨다고 합니다. 또한 한글과 컴퓨터, 엔씨소프트, SM엔터테이너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처 펀드 매니저를 하셨다고 합니다. 현재는 주식회사 금양에 있으시면서 2차전지와 관련된 사업에 관련하여 알려야겠다는 생각으로 요즘 방송에 많이 나오고 계시다고 합니다. 사실 각종 투자관련 매체에 나오는 여러 기업인들, 유명인들의 경우에는 세력을 형성해서 개미들을 불러 모으고 한탕하고 나가버리는 아주 나쁜짓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아닌 분들도 많겠습니다만 저도 ..

대구 부동산, 미분양의 무덤, 앞으로의 방향은?

안녕하세요. 옥스나 삼촌입니다. 이번 글에는 세계경제 흐름에 맞춰 앞으로 대구의 부동산은 어떤 흐름으로 흘러갈지에 대해 예상해 보는 내용을 담아보겠습니다. 코로나 19로 인한 펜더믹의 시대가 점점 막을 내려가고 있고 지금은 전 세계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도 인플레이션에 의한 고금리와 고물가를 겪고 있어서 어려운 점이 많습니다. 얼마 전 미 연준에서는 금리를 다시 상승시킬 수 있다는 발언을 하여 충격을 주었지만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금리를 올리지 않아 다행이라는 반응입니다. 하지만 2023년 3월 5일 현재, 미국의 금리가 4.75%를 가리키고 있고 우리나라는 3.5%를 가리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미국의 금리에 비해 무려 1.25%가 더 낮은 수치인데요 이것은 추후에 우리..

제테크 2023.03.06

현금을 잘 모으고 있으면 기회를 잡을 수 있다.

이번 포스팅은 유튜브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아래 유튜브의 내용을 요약 정리한 것입니다. 도움 되실 것 같아 올려 봤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5JmktCNNLdI&t=52s 우선 미 연준에서 올해도 금리를 올렸습니다. 하지만 금리의 상승 수준이 조금씩 줄어들고 있습니다. 유진투자증권의 이사, 강영현님이 3월에는 금리를 더 안 올릴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는데요, 실물경제가 무너질 때는 금리를 내렸어야 했는데 인플레이션 때문에 못 내렸다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앞으로는 현재 수준의 금리를 유지하여 실물경제가 안정되도록 할 것이라는 예측입니다. 앞으로는 금리 인상과 상승 속도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고 얘기합니다. 2023년 동안에는 올려놓은 금리를 그대로 두고 ..

제테크 2023.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