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테크

세계 경기침체, 과연 어떠한 형태로 올것인가?

by 옥스나 삼촌 2023. 5. 14.
반응형

안녕하세요 옥스나 삼촌입니다. 세계 경기침체가 올것이라는 내용의 기사나 유튜브 등을 많이 보셨을 겁니다. 그리고 그 시작은 미국이 될것이라는 말이 많은데요, 어떤 이유 때문에 그런것인지 유트브 웅달 책방 채널에 출연하신 GB투자자문의 마경환 대표님의 설명을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유튜브, 웅달책방

올해 앞으로는 금리 인하의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우선 얼마전에 금리가 0.25 퍼센트가 오르면서 5.25퍼센트가 되었습니다. 앞으로 최종적인 금리 상승은 없을것이라고 보고있고 7월부터는 금리 인하를 점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금리가 높은 상승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물가는 잡히지 않고 있고 노동시장또한 강세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실제로 미 연준의 연초 계획표에서는 올해 금리 인하가 없을 예정이고 내년부터 점진적으로 금리인하가 예정 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현재 상황으로 볼때는 미 연준에서 올해부터 금리 인하를 할것으라고 마경환 대표는 내다보고 있습니다.
올해 원래 의도적으로 금리인하를 할 생각이 없었지만 현재의 상황으로 인해 유동적으로 금리 인하를 할 것이라 보는 것이죠. 이러한 금리인하는 갑작스럽게 발생하게될 금융 관련 사건으로 인해 이루어질 것이라고 합니다. 현재 신용경색 상황이 매우 좋지않다보니 그와 관련된 문제가 발생 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론적으로 발생할 확률은 낮지만 발생을 하게 될경우 큰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는것이 신용경색이라고 불리는 현상입니다. 예를들어 설명하자면 얼마전 해외의 은행부도로 인한 대규모 현금인출 사태를 예로 들 수 있겠습니다. 대규모의 현금인출이 갑자기 일어나 버리게 되면 은행에서 갖고있는 자금이 줄어들게 되어 현금 유통이 제대로 일어나지 못하게 됩니다. 이것이 신용경색이라는 현상이라는 겁니다. 심근경색의 그 경색과 같은 한자어 입니다.


경기침체의 시그널이 오고있습니다.

출처 - 유튜브, 웅달책방

 

위의 캡처사진은 JP모건에서 발표한 자료로서 빨간색 깃발이 표시되어 있다는 것은 경기침체가 올것이라는 내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차트를 어떻게 보는지는 저도 조금 어렵긴 하지만 마경환대표님의 해석으로는 계속해서 나빠질 것이라고 얘기합니다. 그런데 경기침체가 오지 않을것이라고 보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로는 위 차트에서 가장 오른쪽의 노동시장 차트가 굉장히 좋게 나와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노동시장의 데이터는 늘 후행 지표이기 때문에 앞으로는 노동시장의 차트 내용도 점점 더 않좋아질것이라고 합니다.

출처 - 유튜브, 웅달책방

 

위의 차트에서 확인해 볼 수 있는데요, 미국의 중소기업들의 대출이 점점 어려워 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미국에서는 중소기업의 일자리가 전체 일자리의 2/3이나 차지하고 있습니다. 위의 차트 오른쪽에서 짙은 파란색이 내려가고 있는것이 기업의 자금 조달력이 내려가고 있는 모양입니다.실업률은 낮은 상황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지요.

출처 - 유튜브, 웅달책방

 

이 차트에서 빨간 동그라미들이 말하는 모습이 모두 경기침체가 유발된 시점을 뜻합니다. 역대 그래프에서 모두 똑같이 이러한 상황이 나타났기 때문에 이번 올해에도 경기침체가 들어갈 것이라고 예상하는 것입니다.

출처 - 유튜브, 웅달책방

 

이 모든 자료들이 미국의 경기침체가 다가왔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정말 고민이 많아지는 상황이네요. 지금도 부동산 가격이 많이 떨어져있다고 생각했는데 더 떨어진다니요ㅠ 다시말해 패닉이 와야 진정한 하락이 왔다는 것인데 사실상 우리들의 뇌리에는 아직 패닉상태는 아니였습니다. 주식의 경우 이 반응이 즉각적으로 나타날 것이기 때문에 올해 주식투자는 정말 신중하게 접근하는것이 좋을것이라고 하네요. 주식을 다 팔고 좀 쉬던가 하는게 정신건강에 좋을것 같습니다. 결국은 채권투자를 하는것이 낫다고 합니다. 채권 etf를 좀 알아봐야겠네요. 해당 영상내용에 대한 부분이 여러분들의 판단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